성공적인 글로벌 시장 서비스를 위해 엔씨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도입했다. 우선 '리니지W'는 국가별 이용자가 하나의 서버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글로벌 원빌드로 서비스된다. 엔씨는 '리니지W'의 글로벌 서비스를 위해 개발 역량을 집중했으며, 국내외 데이터센터 뿐 아니라 클라우드 망을 세계 여러 거점에 구축해 핑(Ping, 지연 속도)을 낮추고 다양한 지역의 이용자가 집중될 때 발생하는 렉(Lag, 네트워크 지연) 등 지연 현상을 최소화했다.
◆ 서버 분산 및 물리적 거리 단축으로 네트워크 성능 향상

국가간 물리적 거리가 짧은 중간 지점에 공통 서버도 마련했다. 이용자는 접속 지역 기준 핑이 가장 좋은 서버를 선택해 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권역 내 서버는 물론, 타 권역과의 연결을 돕는 서버 역시 분산할 예정이다.
네트워크 속도 향상은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우선 육로 대신 해저망을 활용해 거리를 최소화했다. 해저망을 지나면 국가간 통신 가속을 돕는 별도망을 사용한다. 이후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가속을 거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거리는 최소화하고 속도는 최대치로 끌어올려 안정적 네트워크를 확보했다.
◆ 이용자별 맞춤 네트워크 환경 조성 ∙∙∙ 기술의 진일보를 이뤄낸 도전

안정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20여년간 다수의 MMORPG에 사용된 IOCP (Input Output Completion Port) 모델 대신 상위 모델인 RIO (Registered I/O) 모델을 도입해 네트워크 처리성능이 향상되었고, 안정적인 CPU를 확보했다. 패킷의 통신 빈도가 높을수록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한데, RIO 모델은 IOCP 모델보다 패킷의 통신 빈도가 높아 안정적이면서 고성능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해당 모델 사용 시 통계적으로 10%에서 15% 정도 성능이 향상된다.
◆ 더 나은 게임플레이 경험을 위한 고민

입력된 데이터를 원상태로 되돌리는 처리 복구 방식이 있으나 대규모 이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어 고려하지 않았다. 이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이동 중 뒤로 문워크를 하거나, 텔레포트가 될 수도 있어 비주얼적으로 좋지 않은 경험이라는 판단이었다.
'리니지W'는 많은 고민 끝에 이용자의 입력과 지연에 기반한 보정 방식을 도입했다. 즉시 공격 등의 상황이 아니라면 게임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가속 처리하고, 이용자에게 조금 더 빠르게 결과를 보낸다. 반면 이동 중에는 끊기는 느낌을 주지 않도록 보정처리 된다.
오경택 기자 (ogt8211@dailygame.co.kr)
Copyright ⓒ 데일리게임. All rights reserved.